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문재인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총리가 뉴델리 영빈관에서 열린 한·인도 기업인 라운드 테이블에 참석하여 기업인들의 발언을 듣고 있다.문재인 대통령의 인도·싱가포르 국빈방문을 계기로‘신(新)남방정책’ 추진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인다.
사람(People)·평화(Peace)·상생번영(Prosperity) 공동체 등 이른바 '3P' 를 중심으로 하는 신남방정책은 인도 및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 수준을 미국·중국·일본·러시아 등 주변 4강국 수준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반도 신경제지도를 완성하는 개념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8일부터 시작되어 인도 국빈방문 이틀째인 9일(현지시간) 한·인도 비즈니스포럼에 참석해 “저는 인도와의 관계를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려고 한다. 그 의지를 담은 것이 신남방정책”이라고 말했다.
이어 “신남방정책은 단순한 경제협력을 넘어 더불어 잘사는, 사람중심의 평화공동체를 함께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신남방정책은 모디 총리님이 추진하는 ‘신동방정책(Act East policy)’과도 맞닿아 있다”고 강조했다.
신남방정책은 세계 1·2위 경제 대국인 미국과 중국간의 무역갈등이 전면전 위기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미·중 대외 리스크를 완화하는 대안으로서 의미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 문 대통령의 인도 방문에 동행한 김현종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번 인도·싱가포르 정상 순방은 신남방정책을 본격화 하는 행보”라며 “정부는 G2 리스크를 완화하는 '넥스트 차이나’로 주목받는 아세안과 인도를 4강에 준하는 파트너로 격상하고 새로운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이제 인도와 아세안과의 경제협력에 전환점이 필요하다”며 “그간 신남방국가와 협력 전략을 하나로 묶어서 진행했다면 앞으로는 공통적으로 적용할 전략과 각 국가별 특성에 맞는 개별 전략을 따로 마련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지 유통망 구축 ▲자금조달 지원 ▲한국-인도·아세안 간 투자 촉진 등 3가지를 신남방국가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할 전략으로 꼽았다.
문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10일 정상회담에서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양국 간 협력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사람, 상생번영, 평화, 미래를 위한 비전’을 채택했다.
17개 항으로 구성된 비전성명은 문 대통령의 신남방정책과 모디 총리의 신동방정책을 통해 양국이 미래를 향한 중요한 동반자임을 확인하면서,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500억 달러 달성 등을 목표로 제시했다.
인도 방문을 마친 문 대통령은 11일부터 오는 13일까지 2박 3일간 싱가포르에 머물며 신남방정책 가속화 행보를 이어갈 예정이다.
최종대 기자, 안식영 기자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8-07-11 18:47: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댓글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안성시 북부권 및 남부권에도 똑버스가 운행한다
  •  기사 이미지 새로운 벚꽃 명소! 감곡면 청미천 벚꽃길
  •  기사 이미지 ESG전문그룹 이노텍코리아 사랑의 쌀 기탁행사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